안녕, 친구. 잘 지냈나요. 이번주에 쓰고 읽고 본 콘텐츠를 보내줄게요. 안녕, 친구. 잘 지냈나요 이번 주에 쓰고 읽고 본 콘텐츠를 전해줄게요 L E T T E R 당신에게 전하고 싶은 말 Photo by Mak 나는 토끼똥처럼 짧은 일기들을 남겨왔습니다. 구태여 다시 찾아 읽을 일이 없는데, 정말로 쓸 말이 없을 때는 예외입니다. (글을 쓴다는 사람이 쓸 말이 없다고 투덜거리는 게 가당한 일일까요. 그건 마치 슈퍼 주인이 '팔 물건이 없어.'라고 말하는 것처럼 게으른 변명이지만 그 부분은 차치하고,) 오늘은 미처 글이 되지 못한 채 쌓여있던 일기들을 꺼내어 바람을 쐬어주기로 합니다. - 2019년 4월 17일에는 이런 일기를 썼습니다. "'안된다는 것도 되게 하는 곳'이라는 문장을 지하철 상가에서 우연히 발견했다. 사진을 출력, 합성해주는 작은 인쇄소였다. 참 멋진 말이다. 나도 그런 사람이고 싶다. 남들이 안된다는 일을 하고, 그것을 되게 만드는 사람. 그런 삶을 살고 싶다고 생각했다." - 2019년 4월 30일에는 이런 일기를 적었습니다. "술을 마시고 있었다. 분위기가 우울했다. 한 명이 말했다. 야, 그래도 우리는 행복하잖아. 내일 해야 할 일도 있고 같이 밥 먹을 가족도 있고. 그럼 된 거잖아. 행복한 거잖아. 그러니까 다들 기죽지 마. 짜식들아. 우리는 고개를 들고 그래, 맞아 하며 술잔을 부딪혔다." - 2020년 1월 15일에는 이런 일기를 새겼습니다. "횡단보도 앞 보행자 작동신호기를 누른다. 버튼을 눌러야 초록불이 켜지고 지나갈 수 있다. 버튼을 누르지 않으면 평생 빨간불이어서 건널 수 없다." - 2019년 4월 25일에는 이런 일기를 메모했습니다. "요즘엔 공허하다는 생각을 자주 한다. 가슴 뛰는 일이 적다고 해야 할까. 내게 일어나는 모든 일이 예측 가능한 범위에 있다. 그건 안정적이지만 동시에 권태롭고 무료한 일이다." - 2020년 6월 2일에는 이런 일기를 남겼습니다. "사랑하는 사람은 너무나 가까워서 내 시야에 쉽게 사라졌다. 어느 날 조금 멀리 떨어졌을 때서야 보였다. 너무 울어서 퉁퉁 부은 눈. 나는 내가 최악이라고 생각한다."
- 2020년 6월 12일에는 이런 일기를 기록했습니다. "역전 바닥에 앉아 껌을 파는 할머니가 있었다. 찢어진 종이박스 위에 보드마카로 쓴 글씨가 눈에 띄었다. '인생이 껌껌할 때는 껌을 씹으세요.' 나는 껌이 씹고 싶어 졌다. 껌껌한 내 인생을 밝혀줄 수는 없겠으나 잘근잘근 위로는 되겠지." 이런 점 같은 일기를 쭉 이으면 과연 나 비슷한 것이 될까요. 어쩌면 정반대의 사람이 나올지도 모릅니다. 언어 뒤에 숨은 인간과 세계는 그만큼 파악하기 힘든 영역입니다. 내가 쓴 일기 속에는 내가 봐도 낯선 사내가 태연하게 앉아있습니다. 나는 일기를 읽으면서 그가 나라고 생각해봅니다. 2020년 6월 넷째 주 지난 일기를 꺼내보며 윤성용 드림 R E A D I N G 당신이 꼭 읽었으면 하는 글 조선일보, 3 min read 인간에 대한 사랑은 죽을 때까지 계속된다. 임종을 앞둔 사람의 가장 큰 소원은 사랑하는 가족이나 사랑했던 사람들과의 작별이다. 사랑의 끝이 인생의 종말이기 때문이다. 남녀 간의 사랑이 될 수도 있고, 혹은 우정이 될 수도 있다. 이웃과 민족을 위한 사랑도 좋다. 그들을 위하는 사랑이 있는 동안은 행복과 젊음이 남는다고 생각한다.
가장 고귀하고 영원한 것을 사랑한 사람은 누구보다도 값있는 인생을 산다. '사랑하는 사람은 늙지 않는다'는 진실을 깨닫는다면 좋겠다. 올해로 101세가 되신 김형석 교수님의 칼럼입니다. 그는 늙지 않는 세 가지 방법으로 일과 여행, 그리고 사랑을 말합니다. 사랑하는 동안은 행복과 젊음이 남는다는 말이 마음에 와 닿습니다. 젊은 내가 사랑하고 있는 것들은 무엇인지 세어보기도 했습니다. 여러분들은 지금 무엇을 사랑하고 있나요. 일과 여행, 사랑을 간직하며 살아가고 있으신가요. M U S I C 당신이 좋아할 것 같아서 Just let my love shine 내 사랑을 빛나게 해주세요 1994년에 발매된 <Let My Love Shine>입니다. '히로시 후지와라'는 최초의 일본 힙합 DJ이자 스트릿 패션계의 대부로 유명합니다. 시대를 앞서간 만큼, 25년이 지난 노래에서도 세련됨이 느껴지는데요. 인터넷에서도 정보를 얻기 힘들 정도로 잘 알려지지 않은 앨범입니다. 꿈을 꾸듯 마음이 말랑말랑해져서 자꾸만 찾아 듣고 있습니다. "오늘 xyzorba는 어땠어요?" 보내주는 피드백은 늘 꼼꼼히 읽고 있어요. 좋은 말은 마음에 두고 지적은 기꺼이 반영할게요. 그럼 안녕, 친구 |
일상 에세이, 글, 음악 추천